성인 10명 중 4명은 1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진흥을 위해 한해 쏟아내는 예산은 3293억 원에 달하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정보 홍수 속에 국민들은 책을 읽을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독서율을 늘리는 것이 과제이지만, 뚜렷한 방향성이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출처: https://www.flickr.com)

● 독서인구, 독서량 모두 줄어…책 필요 없다는 주장 높아져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지난 1년간 일반 도서를 한 권이라도 읽은 사람의 비율(독서율)은 성인 59.9%에 불과했다. 이는 교과서, 학습참고서, 수험서, 잡지, 만화 등을 제외한 수치다. 이는 정부가 독서율을 조사한 1994년 이래 역대 최저 기록이다. 1994년엔 성인 독서율이 86.8% 수준이었다. 1994년 이래 매년 1%씩 독서율이 감소한 셈이다.

독서인구만 사라진 것이 아니다. 독서량도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종이책 독서량은 성인 평균 8.3권이었다. 2015년 9.1권과 비교하면 0.8권 정도 덜 읽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독서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도 낮아지는 것이 현실이다. 본인 독서량에 대해서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성인 비율은 59.6%에 불과했다.

책 읽기를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일과 학업 때문에 시간이 없다는 응답이 성인 32.2%와 학생 29.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은 휴대전화 이용, 인터넷, 게임이라는 응답(19.6%)이 그 뒤를 이었다. 독서를 대체하고 있는 게 스마트폰 활동이라는 것을 이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많은 이들이 정보습득을 위한 매체로 스마트폰을 꼽는 게 현실이다. 서울 도봉구 김진주 씨(30)는 “스마트폰만 켜도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시대에 굳이 책을 읽어야 하는지 의문이 든다”며 “독서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책 읽기 운동을 전개하는 국민독서문화진흥회 측 관계자는 “즉각적으로 만들어지고 전파되는 인터넷 정보와는 달리 책은 정리된 사고와 지혜를 담고 있어, 사유의 폭을 넓혀준다”며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인터넷에 나와 있는 요약된 정보 보다 깊이 있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게 독서의 가장 큰 장점이라는 설명이다.

낮은 독서율은 국가 경쟁력까지 떨어트린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016년 펴낸 '독서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보면 세계경제포럼 국가경쟁력지수와 각국의 독서율 간에는 0.77이라는 높은 상관관계를 기록했다. 독서율이 높은 국가가 경제적으로도 경쟁력이 높다는 의미다.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도 독서율 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배경이다.

 

●“독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높일 사회적 노력 필요”

 

독서율 하락에 대한 지적이 나오면서,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독서 저변 확대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실제 효과는 크지 않다. 지난해 정부가 진행한 독서진흥사업 5046건에 달했지만, 하락하는 독서율을 끌어올리진 못했다. 정부 지자체 정책들은 겉으로만 시끌했을 뿐 실질적인 성과가 없었다는 비판마저 나온다.

성인 독서율과 달리 학생 독서율은 91.7%다. 이 역시 떨어지고 있긴 하지만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학생 때 책을 읽다가도 어느새 독서에 흥미를 잃는 것으로도 풀이할 수 있다. 많은 전문가들이 성인기에 접어들어 책을 읽지 않는 이유로 대입경쟁을 거쳐 취업 준비 등을 하느라 독서에 대한 관심을 지속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주 52시간 전환 등으로 늘어난 삶의 여유시간을 독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 독서를 하는 것은 개개인이지만,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려면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 독서 운동가는 “한국 성인 중엔 독서를 즐기다가 어느새 비독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며 “구립이나 시립 도서관 등을 통해 독서 인프라를 넓히려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더불어 사회 차원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독서운동에 대한 지원과 함께 서평 문화의 확산 등도 필요한 정책으로 꼽힌다. 

저작권자 © 한국독서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