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인근지역 대학 정시모집 증가
지방대 위기, 저출산과 코로나19 그리고 지역차별이 만든 악순환

저출산과 코로나19로 인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빈익부 부익부처럼 학력인구의 지역 쏠림 현상과 함께 지방의 교육생태환경이 급격히 무너질 전망이다. 
 

사진제공 : 한국대학신문
사진제공 : 한국대학신문

교육계 보고에  따르면 서울의 주요 16개 대학의 2023학년도 신입생 선발 인원은 모두 13만1782명으로 올해 고3 학생들을 선발하는 2022학년도 12만9562명보다 2220명 많은 숫자다. 더불어 전국 4년제 대학 198곳의 정원도 늘어나면서 2023학년도에는 2571명 확대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및 근교 모집인원은 늘었지만 학생 숫자는 줄어들고 있다. 2022학년도 수능을 치러야 하는 지난해 고2 학생은 45만2137명으로 집계됐다. 2023학년도 수능 응시 대상인 지난해 고1 학생은 44만7233명이다. 수험생의 숫자는 1년 새 4904명 줄어든 셈이다. 

서울의 주요 대학 16곳은 정시로 40% 이상을 선발하기로 결정하면서 16개 대학의 수능 위주 정시 선발 인원은 2022학년도 1만9296명에서 2023학년도 2만111명으로 1715명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서울 주요 대학의 모집인원이 늘어나면서 지방대는 울상이다. 지방대 한 관계자는 “2021학년도 충원율을 채우는 게 쉽지 않았다”며 “매년 인원 충원만 걱정하는 처지”라고 토로했다.

저출산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대학의 서열구조와 경쟁체제인 재정지원 방식이 문제라는 인식도 높아지면서 국립대를 중심으로 일부 사립대가 포함되는 공동입시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더불어 지역 기업들이 ‘지방대 학생의 수준이 낮다’는 인식을 타파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책 연구기관은 수도권 대학과 연구를 희망하고, 지역의 기업 역시 ‘인서울’ 대학 출신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지금의 지방대 위기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손정우 경상대 교육혁신처장은 한 토론회에서 “지역 대학에서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교육을 하게 되면 고용은 물론 기업이나 기관의 자녀들이 다시 지방대로 유입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송근현 교육부 고등교육정책과장은 “대학 재정과 교육 여건, 소재 지역에 따른 대학 경쟁력, 학령인구 감소 등 교육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 전반의 문제가 맞물려 있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새로운 대학 평가지표를 발굴하고 대학과 지역사회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고민해 5월 중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독서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