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조현병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초기 증상이 청소년의 사춘기 행동과 유사해 빠른 진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이가 이상한 행동을 보이면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정신질환 상담기록이 남는 것을 두려워한 학부모들의 거부로 상담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조현병은 사고와 감정, 지각, 행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걸쳐서 이상 증상을 일으키는 정신질환이다. 없는 것을 보거나 듣는 환시·환청 등 환각증상과 자신을 과대·과소평가하고 밖에 나가거나 사람을 만나는 것을 두려워하는 각종 망상증상을 동반한다. 과거엔 정신분열증으로 불렀지만 단어가 주는 부정적인 편견 때문에 조현병으로 바꿔 부르고 있다.

조현병 초기 증상은 사춘기에 나타나는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흔히 조현병 초기 증상을 일탈현상이라고 부른다. ▲잘 씻지 않거나 청소를 하지 않는 현상 ▲외모를 가꾸는데 관심을 크게 보이거나 반대로 전혀 관심이 없는 현상 ▲수면시간이 불규칙적이고 밤낮이 바뀌어 생활하는 현상 ▲신경이 예민해지고 불안한 현상 ▲심한 분노를 표현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현상 ▲집중을 못하고 이유 없이 성적이 떨어지는 현상 ▲말수가 줄고 깊은 생각에 빠져드는 현상 등이다.

이처럼 진단이 쉽지 않다 보니 전문가들은 빠른 상담과 치료를 당부한다. 특히 조현병 등 정신질환은 청소년기 발병률이 높은 게 특징이기 때문이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정신질환자 400명을 지난해 실태조사한 결과 고등학생 발병률은 29.5%로 가장 높았다. 대학생 20.9%, 직장인 13.9%, 군 제대 후 8.6%, 중학생 7.8%, 초등학생 4.6%, 대학원생 1.1% 순이다(기타 13.7%). 초·중·고교에 재학하는 학생의 발병률도 41.9%에 달했다. 청소년기가 조현병을 찾아내 치료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인 셈이다. 이 시기엔 상담·약물치료로 70~80% 완치가 가능하지만, 늦어질수록 치료효과가 감소한다.

그렇지만 실제론 정신과 상담을 거부하는 학부모로 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더 많다. 서울 중랑구의 한 고등학교 교사는 "학교 검사에서 조현병 등 정신질환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학생의 상담을 위해 학부모에게 연락했지만 '사춘기라 그렇다'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더라"며 "결국 전문상담을 받지 못한 채 졸업했다"고 전했다.

학부모가 전문의 상담을 피하는 이유는 정신질환 상담기록을 남기지 않으려는 의도다. 하 간사는 "아이가 우울증을 앓고 있다고 해도 펄쩍 뛰며 믿지 않으려는 학부모가 많다"고 말했다. 전문상담을 한 사실이 낙인이 돼 학교생활이 어려워지거나 졸업 뒤 진로에도 영향을 줄까봐 선뜻 상담에 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붕년 서울대 의과대학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교육청별 상시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자문제도를 구축하고, 교사가 아닌 전문의가 직접 학부모를 설득하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독서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