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시대와 카드혜택이 많은 요즘시대에 카드수납을 주저하는 교육기관이 있다면, 이해가 될까? 카드 수납을 권장하는 사립대학은 전체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재훈 바른미래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2019년 등록금 카드납부 실시 현황’에 따르면 올해 전체 416개교(전문대·대학원대학 포함) 가운데 카드로 등록금을 납부할 수 있는 대학은 209곳으로 50.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9.8%(207곳)은 카드로 등록금을 내지 못한다.  

특히 4년제 사립대학 177곳 가운데 카드납부가 가능한 곳은 82곳으로 전체의 46.3%에 불과했다. 반면 국공립대학은 47곳 가운데 43곳(91.5%)이 카드로 등록금을 낼 수 있었다. 국공립과 사립대학의 카드납부 비율에 현격한 차이가 있는 이유가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기도 하다. 

지난 3년의 결과를 살펴보더라도 큰 차이가 없다. 2017년에는 사립대학은 42.9%였고, 지난해에는 45.9%가 카드로 등록금을 납부한 것으로 집계돼 절반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다. 

서울 주요 대학 가운데 카드로 등록금을 받지 않는 대학은 고려대를 비롯해 Δ한양대 Δ경희대 Δ한국외대 Δ홍익대 Δ숙명여대 등이다.  현 고등교육법에는 ‘학교의 설립자·경영자는 수업료와 그 밖의 납부금을 현금 또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에 의한 결제로 납부 받을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선택조항이라 카드 납부를 거부해도 대학을 제재할 수는 없다. 

▲ 해당이미지는 기사내용과 상관이 없습니다.
카드 수수료도 대학이 카드 납부를 꺼리는 이유 중 하나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기준으로 카드납부가 가능한 대학의 평균 수수료율은 1.7%다. 


올해 대학 등록금 총액은 국가장학금 예산(근로장학금 제외 약 3.7조원)을 빼고도 8조7000억원 수준이다. 대학생 모두가 카드로 등록금을 내면 대학은 1480억원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결국 학령인구 감소와 등록금 동결정책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대학 입장에서는 부담하는 수수료의 액수가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일거라는 관계자들의 증언이다. 
 

이런 경우 분할납부제도 대안이 될 수 있다. 분할납부제는 현금으로 등록금을 납부하는 것은 같지만, 수수료나 할부이자 부담없이 분할납부가 가능하도록 한 제도다. 강낙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고등교육연구소장은 “등록금 분할납부제는 수수료 부담이 없어 대학 입장에서도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임재훈 의원은 “사립대학의 등록금 카드납부 비율 제고를 위한 교육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독서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